react router

State(내부상태), Props(외부로 부터 전달 받은 상태), Render(JSX)가 있고 State가 변경될때마다 가상돔을 사용해 변경된 부분만 화면에 업데이트 된다.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모든 state는 불변성을 유지해야하고 변경이 발생한다면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야한다.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상태는 읽기 전용이기 때문에 변경이 필요하다면 새롭게 객체를 만들어야한다. useState로 바뀌는 데이터만 새롭게 객체를 만들기가 복잡하여 Redux, Mobx, Immer 등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쓰기도 한다. 하지만 복잡한 상태관리가 필요하지 않다면 UseState, useReducer, Context API 훅을 통해 글로벌 상태관리를 할 수 있다. useReducer 상태를 관리하게 될 때 useSta..
Single Page Application(SPA) 과거에 브라우저는 서버에서 넘어온 새로운 페이지 정보를 모두 새로 전달 받았다. (Server Side Lendering)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의 경우, 화면에 보여질 리소스를 서버로 요청하고, 서버로 부터 받아온 리소스를 렌더링했다. 웹 사이트 고도화로 인해 페이지 용량이 증가하여 점점 버거워짐에 따라 SPA 기술이 생겼다. Single Page Application(SPA)는 초기 로딩 시 정적 리소스를 한번에 다운받고 이후 새로운 페이지 요청 시 변화된 부분만 전달받아 페이지를 갱신한다. 렌더링의 역할을 서버에게 넘기지 않고 브라우저에서 처리한다.(Client Side Lendering) CSR Routing 요청(URL)에 알맞는 경로를 ..
seon-o
'react router' 태그의 글 목록
상단으로